2015년 7월 11일 토요일

음악을 언어로 환산한다면


보스톤 퀸시마켓 식당가에 마련된 피아노를 연주하는 시민들을 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내 음악적 능력을 다른 단위로 환산하면 어느 정도가 될까? 자연스럽게 떠오른 척도가 언어였다.

나는 리듬, 박자, 음정 등 기본적인 음악 이론은 알고 있으니 언어로 치면 주어나 동사 형용사 정도의 기본적인 문법은 아는 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다만 악기를 연주하는 기술은 아마추어니 발음은 어설픈 것이고, 기교나 스케일도 많이 알지 못하니 단어도 그렇게 많이 아는 편은 아니겠다. 시간을 가지고 쓰고 찾아보고 공부하고 다듬으면 어느 정도는 그럴싸하게 만들 수 있겠지만 아무리 그래도 원어민의 글이나 말과는 확연한 차이가 날 것이다.

음악적 리터러시(읽고 쓸 줄 아는 능력)를 요구하는 곳에서 일하는 것은 흥미롭다. 내가 일하는 하모닉스는 음악 게임을 전문으로 만드는 회사인 만큼 수많은 사내 밴드가 있고, 작곡가가 사운드 디자인과 게임 디자인을 모두 맡는 일이 드물지 않다. 테스트 때문에 프로 드러머가 필요하면 부서에 상관없이 회사 곳곳에서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일을 할 때도 자연스럽게 음악적인 요소를 이야기하게 된다. 박자, 템포, 루프, 스케일, 코드, 조옮김, 조바꿈, 프레이즈... 막상 이들을 사용할 땐 이를 자각하지 못하지만 가끔씩 내가 가진 어눌한 음악 언어가 이곳에서 일을 할 때 필요하다는 사실이 신기하게 느껴지곤 한다.

그런데 이곳에서 음악은 기본적인 언어이기 때문에 굳이 음악 이야기를 티내며 꺼내는 것이 오히려 부자연스러울 때도 있다. 왠만한 밴드나 음악이야 서로 다 알 것 같고 해서 딱히 이야기를 꺼내기가 좀 그렇다. 게임의 오디오 엔진을 담당하는 나의 사수는 밴드 건즈 앤 로지즈의 레코딩 엔지니어로 일한 경력이 있음에도 그 이야기를 한 적이 한 번도 없다.

한국사람이 굳이 한국사람과 한국말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한국말을 공부하지 않는 것처럼 이곳에도 분명 그런 아이러니가 있는 것 같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